데이터바우처 지원 사업은?


데이터 구매 바우처

중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데이터 기반 서비스 개발, 분석 등에 필요한 데이터 구매 또는 가공(일반/AI) 서비스를 전문기업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

데이터 가공 바우처

수요기업의 이용 목적에 맞게 데이터 전처리, 태깅, 라벨링, 시각화, 분석 등을 맞춤형으로 가공 시 소요되는 비용 지원하는 사업입니다.

사업개요

데이터 활용이 꼭 필요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존 데이터 활용의 애로사항이었던 데이터 구매, 가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
사업개요 사업개요 사업개요

공모 안내


공모분야 : 스마트시티

전국 17개 2차 수요기관에 중복신청은 불가능

공모 대상

 공통

데이터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국내 중소기업, 소상공인, 1인 창조기업

 구매 바우처

지정된 데이터 판매기업으로부터 데이터 상품을 구매하여, 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신규 개발 및 고도화, 데이터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를 추진하려는 기업

 가공 바우처

지정된 데이터 가공기업으로부터 맞춤형으로 데이터를 처리 및 제공받아, 자사의 서비스를 개발 및 고도화, 데이터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를 추진하려는 기업

공모 내용

접수기간 : 2019년 5월 20일(월) ~ 6월 21일(금) 16:00까지

지원규모

◇ 데이터 구매 바우처
- 정부지원금은 건당 1,800만원 한도 내에서 매칭(정부 75% : 민간25%)을 통해 바우처 활용 계획 및 사업비 구성
- 기업당 1건의 데이터 비즈니스 프로젝트별로 최대 1,800만원 內 여러 종류의 데이터 구매 가능

◇ 데이터 가공 바우처
- 정부지원금은 건당 4,500만원(일반가공), 7,000만원(AI가공) 한도내에서 매칭(정부 75% : 민간 25%)을 통해 바우처 활용계획 및 사업비 구성
- 기업당 1건의 데이터 비즈니스 프로젝트별로 최대 7,000만원 內 여러 건의 데이터 가공서비스 이용 가능

추진절차

추진절차 추진절차 추진절차

제출서류
데이터바우처 수요기업으로 신청하기 위해 접수기간 內 관련 서류를 모두 제출하여야 하며, 제출마감 후 수정 및 반환되지 않음
No. 제출서류 목록 비고
구매부문 가공부문
1 2019 데이터바우처 신청서 2019 데이터바우처 신청서 사업안내자료 별지 서식
2 사업수행계획서 사업수행계획서, 발표자료
※ 발표자료는 10분 발표분량의 PPT 파일 제출(자유양식)
사업안내자료 별지 서식
3 데이터 구매 사전 협의서 데이터 가공 사전 협의서 사업안내자료 별지 서식
4 중소기업확인서 중소기업확인서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
(sminfo.mss.go.kr)
5 채무불이행 여부 확인서 채무불이행 여부 확인서 신용평가사
6 국세 및 지방세 완납증명서 국세 및 지방세 완납증명서 홈택스 및 정부24
7 제출서류(4번~6번)의 유효기간은 접수마감일(‘19. 6. 21) 기준
유의사항

※ 지원사업 신청시 구매/일반가공/AI가공 분야 동시 지원 및 중복 지원 불가
※ 수요기업은 각 지원부문에서 지원금액 한도로 복수의 데이터 공급 기업으로부터 데이터 구매 또는 가공 서비스 이용 가능
※ 상세 유의사항은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공모 안내서 참조
※ 지원 사업 신청 접수는 온라인으로만 진행되며, 개별 이메일, 출력된 문서, 오프라인 등 기타 방법으로 신청시에는 접수 불가
※ 중소기업확인서, 채무불이행 여부 확인서는 발급에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수요기업은 관련 서류 발급 신청을 우선 진행 요망
※ 채무불이행 여부 확인서는 기업신용평가사로부터 채무불이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를 발급받아 제출.(ex. 예비평가보고서, 약식신용평가서, 신용분석보고서 등)

문의처

-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문의번호 : 051-749-9345
-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e-Mail : shk@busanit.or.kr, ssy1201@busanit.or.kr

이용약관개인정보처리방침
(우)48059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41 (우동, 센텀벤처타운),
304호 부산AI실증지원센터
Tel. 051-749-9337,454,458 FAX. 051-743-0616
(c)Copyright BAI All rights reserved
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